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환율이 오르면 호재라고 생각하는 곳이 또 있죠.<br> <br> 바로 달러로 장사하는 수출기업들인데 저희가 취재해보니 환율 덕에 이익을 보기는커녕 오히려 손해까지 보는 중소기업들이 많았습니다.<br> <br> 대체 무슨 일 때문에 이렇게 된 건지.<br> <br> 김유빈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미국과 유럽에 의류를 수출하고 달러로 거래 대금을 받는 중소기업 S사. <br> <br>달러가 강세인 요즘에는 돈을 더 벌 것 같지만 상황은 정반대입니다. <br> <br>올해 초 가입한 한국무역보험공사의 환변동보험 때문입니다. <br> <br>[신금식 / S사 대표] <br>"도리어 이거는 보험을 들어서 손실을 가중시키는 역효과가 나서…" <br><br>환변동보험은 환율을 현재 수준에 고정 시켜 이보다 떨어지면 은행에서 손실을 메워주고 오르면 환차익을 회수해가는 상품입니다.<br> <br>그런데 가입 이후 환율이 계속 오르면서 회수금 액수도 커져 버린 겁니다. <br> <br>자잿값에 운송 비용도 늘었는데 거래 대금 환차익을 회수해가면 남는 게 별로 없습니다. <br> <br>[신금식 / S사 대표] <br>"그(높아진) 환율로 다른 모든 데 페이하고 거래가 이뤄지는데, 이쪽은 그것(환차익)이 무시되고 보험 낸 만큼 없어지니까 손실입니다. 보험 든 것 자체가 리스크가 되어버리니까…" <br><br>환차익을 회수하지 않는 보험 상품도 있지만 내야 하는 보험료가 최대 500배 비싸다 보니 가입 기업 3천 3백여 곳 가운데 90%는 환차익 회수 상품에 가입했습니다.<br> <br>한국무역보험공사의 보험료 책정을 지적하는 목소리는 2년 전에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[이인호 /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 (2020년 국감)] <br>"보험료 부담을 낮춰야 된다는 취지에 대해선 전적으로 공감하고요. 보험료 구조를 혹시 고안해 낼 수 있는지 연구과제로 고민을…" <br> <br>하지만 상황은 그대로입니다. <br> <br>[이장섭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빨리 시급하게 정부가 나서서… 환차손 환차익 두 개를 모두 보장할 수 있는 운영상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한국무역보험공사는 고환율 상황이 이어질 경우 지원금 강화 등 다른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김명철 김찬우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 /><br /><br />김유빈 기자 eubini@ichannela.com